WTMO-dev
AI
CV
basic
DL
basic
ML
basic
NLP
basic
dspy
hugging face
llama index
ollama
C++
basic
COMPUTER SCIENCE
basic
ETC
GIT
Blog
basic
IDE
VSC
python
setting
JAVA
basic
MATH
Basic
Statistic
NETWORK
basic
OS
Window
WSL
basic
basic
PROJECT
PYTHON
Advance
Basic
Framework
Django
FastAPI
Library
Module
Home
PROJECT PRACTICE
Crawling
EDA
Kaggle
Python
CV
Contact
Copyright © 2024
WTMO-dev
Home
> GIT
Now Loading ...
GIT
How to use Git
깃 글로벌 셋팅 {% highlight shell %}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input # mac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 win git config –global user.name “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email”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vim” # editor를 vim으로 세팅 git config –global core.pager “cat” # pager를 cat으로 세팅 git config –global –list {% endhighlight %} autocrlf 문자 개행 세팅(줄바꿈) shell에서 vim ~/.gitconfig로 수동 변경가능 깃 원격지 설정 {% highlight shell %} git remote add git remote -v {% endhighlight %} 원격지 세팅 원격지 종류 확인 깃 작업 내역 확인 {% highlight shell %} git status {% endhighlight %} 파일 내부 작성자 확인 {% highlight shell %} git blame {% endhighlight %} 깃 clone {% highlight shell %} git clone git clone {% endhighlight %} 깃 가져오기 깃 <dir>에 가져오기 깃 다음 버전에서 팔로우업 할 파일 추가 {% highlight shell %} git add {% endhighlight %} 깃에 팔로우업한 파일 기준으로 새로운 버전을 생성 및 설명추가 {% highlight shell %} git commit -m “" git commit --amend {% endhighlight %} 깃 easy 커밋 직전 커밋 수정 현재 깃의 버전 로그 확인 {% highlight shell %} git log git reflog {% endhighlight %} 전체 로그확인 하드 리셋한 로그까지 확인 깃 브랜치 관리 {% highlight shell %} git branch git branch -a git branch git branch -d git branch -r {% endhighlight %} 브랜치 리스트 브랜치 원격지 포함 리스트 브랜치 생성 브랜치 삭제 원격지 브랜치 확인 깃 브랜치 변경 {% highlight shell %} git checkout git checkout -t {% endhighlight %} 브랜치 변경 원격지 브랜치로 변경 깃 병합 {% highlight shell %} git merge {% endhighlight %} <name>을 현재 브랜치로 합치기 깃 리셋 {% highlight shell %} git reset –hard HEAD~ git reset --hard {% endhighlight %} HEAD를 <num>횟수만큼 되돌아간다. HEAD를 <commit_name>으로 되돌아간다. 깃 복구 {% highlight shell %} git reset –hard ORIG_HEAD {% endhighlight %} HEAD를 기존의 ORIG_HEAD로 되돌린다. 깃 태그 관리 {% highlight shell %} git tag git tag git push origin git push --tags git tag -d git push origin :tags/ git tag -l "" {% endhighlight %} 태그 생성 특정 커밋에 태그 생성 특정 태그 원격에 업로드 태그 전체 원격에 업로드 로컬 특정 태그 삭제 원격 특정 태그 삭제 태그 확인 conventional commit example commit 제목은 구나 절의 형태로 나타내기 capitalize 중요 prefix(type) 달기 feat : 기능 개발 관련 fix : 오류 개선, 버그 패치 docs : 문서화 작업 test : test관련 conf : 환경설정 관련 build : 빌드 작업 관련 ci : continuous integration 관련 chore : 패키지 매니저, 스크립트 style : 코드 포매팅 관련 refactor : refactoring 작업 example {type}:{description} 작업단위 축약(if ! after type mean breaking change happen) {body} 작업 상세 기술 {footer} 부가정보(ex) BREAKING CHANGE:drop social login support pre-commit commit을 하는데 있어서 통일 된 규격의 파일을 원격지에 올리기 위한 방법 {% highlight shell %} pip install pre-commit pre-commit sample-config > .pre-commit-config.yaml cat .pre-commit-config.yaml pre-commit run pre-commit run -a pre-commit install {% endhighlight %}
GIT
/
basic
· 2023-08-08
GitHub blog
깃허브 레포지토리 만들기 우선 깃허브의 계정 또는 조직(organization)을 생성을 한다. 아래와 같이 레포지 토리 생성을 시작한다. 위의 사진에서 초록색 버튼을 클릭하고 위의 사진에서 <name>에 계정이름 또는 조직이름을 기입한다. 이름을 해당 방식과 다르게 제작할 경우 <name>.github.io이 기본 도메인이 되지않고 <name>.github.io/<other> 이 기본 도메인이 된다. 설정후 초록색 버튼을 클릭한다. 상단오른쪽의 settings로 들어간다. 왼쪽바에서 Pages로 들어가서 Branch를 /(root)가 되게 설정한다. jekyll 설치하기 jekyll는 다양한 사이트 테마를 지원하며 수정하기 용이한 폼을 가진다. ruby 설치하기 ruby는 gem이라는 패키지 관리자를 지원하며 jekyll를 사용하기 위해 jekyll에서 추천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다운로드 사이트 ruby를 설치하고 사용하려면 c, c++ 등을 추가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Mingw가 필요하며 이는 ruby+Devkit을 다운받으면 MSYS2를 추가적으로 다운로드 받으며 같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기존에 Mingw를 다운받았을 경우 MSYS2를 다운로드 받고 추가 다운로드를 진행하지 않아도 된다. 위와 같이 설정하여 다운받으면 마지막에 아래와 같이 뜨게 된다. 여기서 체크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면 자동으로 MSYS2까지 다운이 받아진다. 만일 자동적으로 안될경우 안내문에 나와 있듯이 ruby prompt에서 ridk install을 입력하면 다운로드 창이 뜨게된다. 여기서 Mingw가 설치된 사람은 1 설치가 안된사람은 3을 선택하여 MSYS2를 설치하면 된다. 3을 선택하여 설치해도 Mingw가 설치가 안될 수있는데 이럴경우 부득이하게도 인터넷에서 직접설치해야한다. 설치완료 후에는 아래와 같이 환경변수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디렉토리 주소는 설치시 본인의 설치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이 완료 되었다면 cmd 창을 켜서 {% highlight shell %} gem -v gcc -v g++ -v ruby -v {% endhighlight %} 를 입력 후 출력이 잘 나오는지 확인한다. 잘 나온다면 모든 설치가 잘 되었다는 의미이며 잘 되지 않을경우 ruby, gem은 루비설치 gcc, g++은 Mingw의 설치가 잘안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거의 다왔습니다. ruby prompt를 켜서 {% highlight shell %} gem install jekyll bundler {% endhighlight %} 을 입력하여 jekyll과 bundler를 다운받습니다. jekyll는 테마사용 bundler는 markdown 작성 후 동작확인을 위해 사용됩니다. 다시 깃허브로 돌아와서 블로그를 관리할 폴더를 생성 후 해당 폴더에 cmd를 통하여 {% highlight shell %} git clone <address> {% endhighlight %} 로 내려 받은 후 해당 폴더의 위치에 ruby prompt를 이용하여 {% highlight shell %} jekyll new ./ {% endhighlight %} 를 입력하여 새 jekyll 사이트를 설치한다. ruby prompt로 {% highlight shell %} bundle exec jekyll serve {% endhighlight %} 입력하여 bundle로 jekyll를 실행 후 http://127.0.0.1:4000/에 접속하여 다운받은 jekyll가 정상 작동되는지 확인한다. 그럼 기본적인 설정은 완료가 되며 다음의 사이트에서 테마를 찾아본 후 사이트에서 지원하는 방법대로 나의 jekyll 사이트에 덮어씌우면 된다. 사이트1 사이트2 사이트3 사이트4
GIT
/
Blog
· 2023-07-25
<
>
Touch background to close